🇺🇸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상호관세 하한선은 10%… 예외는 있지만 원칙은 명확하다”

2025. 4. 13. 08:24경제

반응형

2025년 4월 11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자국의

상호관세 정책과 관련해 중요한 발언을 남겼습니다.

플로리다주로 향하는 에어포스원 내부에서 기자들과

만난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의

기본 세율인 10%가 하한선이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는 현재 미국이 전 세계와 벌이고 있는

무역 협상 전략의 핵심 기준이 될 전망입니다.

 

출처 : 로이터 통신

 

관세 정책 발표 및 시행 경과

트럼프 행정부는 4월 2일 전 세계를 대상으로

상호관세를 전격 발표, 4월 5일부터 이를 본격 시행했습니다.

시행 초기에는 모든 국가에 기본관세 10%가 부과되었고,

이후 4월 9일부터는 최대 50%에 이르는 국가별 상호관세가 적용되었습니다.

하지만, 13시간 만에 다소 유화적인 조치도 나왔습니다.

미국은 중국을 제외한 국가들에 대해 기본관세 10%만 우선 적용하고,

나머지 상호관세는 90일간 유예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기간 동안 약 70여 개국과 무역 협상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출처 : 국민일보

‘하한선 10%, 상한선 50%’… 미국의 관세 전략 구체화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 역시 이번 정책에 대해

국가별 상호관세율은 상한선이며, 기본관세 10%는 하한선

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는 미국이 자국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관세의

최저 기준선을 고정하고, 상황에 따라 더 높은

관세를 유연하게 부과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했다는 뜻입니다.

출처 : 대표세무사 비더리치 tv 블로그

🇨🇳 대중국 관세는 예외 없이 강화 중

한편, 중국에 대한 조치는 예외가 없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을 상대로 한 관세를 지속적으로 인상 중이며,

현재 최고 145%에 이르는 수준까지 도달했습니다.

미국과 중국은 상호 보복 관세를 주고받으며 긴장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시진핑 주석과 항상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며

협상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을 내비쳤지만,

실질적인 돌파구는 아직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출처 : 네이버 증권 ( 미국 국채 수익률)

달러와 국채시장 충격? “잠깐일 뿐이다”

이번 관세 발표 이후, 미국 국채 가격과 달러 가치는

일시적으로 하락했습니다.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채권시장은 잘 돌아가고 있다”며 “문제를 빠르게 해결했다”고 밝혔습니다.

더불어 “사람들이 우리가 하고 있는 일을 이해하게 된다면,

달러 가치는 다시 상승할 것”이라고 자신감을 드러냈습니다.

출처 : ai

정리하면 글로벌 무역 흐름, 다시 '관세 전쟁' 시대로?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 우선주의’를 실현하기 위한 강경한 무역 정책

다시 꺼내 들었습니다. 하한선 10%, 상한선 50%라는

관세 정책은 명확한 신호를 전 세계에 보낸 셈입니다.

특히 중국과의 대립이 계속되는 가운데, 글로벌

무역 질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됩니다.

앞으로 90일간의 협상 결과에 따라, 미국과 주요 무역국들

간의 새로운 합의 혹은 갈등의 방향이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