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6. 14. 13:56ㆍ경제
새 정부 출범 기대감 속 코스피 상승세, 투자자 자금도 몰려
6월 들어 국내 증시가 새 정부 출범과 함께 정책 기대감에 힘입어 '허니문 랠리'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특히 빚을 내서 주식에 투자하는 '빚투'(신용거래융자)와 투자자 예탁금이 동시에 급증하며 시장에 유입되는 자금 흐름이 다시 활기를 띠고 있습니다.

출처 : 네이버증권 (코스피 차트)
신용거래융자 18조8500억 원… 연중 최고치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6월 12일 기준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18조8500억 원으로 연중 최고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불과 7거래일 전인 5월 30일보다 약 5761억 원 증가한 수치입니다.
- 유가증권시장: 11조38억 원
- 코스닥시장: 7조8462억 원
신용거래융자란?
투자자가 증권사에서 자금을 빌려 주식을 매수한 뒤 아직 갚지 않은 금액을 뜻하며, 주가 상승에 대한 기대심리가 강할수록 늘어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출처 : 연합뉴스
증시 상승세, 코스피 2920선 돌파… 그러나 조정 신호도
이재명 대통령 취임 이후 코스피는 7거래일 연속 상승하며 2920선까지 올랐습니다. 그러나 이스라엘-이란 긴장 고조 여파로 13일에는 2890선으로 소폭 조정을 받았습니다.
증권가에선 여전히 낙관적인 전망이 우세합니다.
- KB증권: 향후 12개월 내 코스피 3240
- 한국투자증권: 하반기 중 3150
하지만 기업의 2분기 실적이 아직 발표되지 않았고, 다음 달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 종료 등 불확실성도 남아 있어 단기 숨고르기 장세가 예상됩니다.
“코스피의 PBR은 1배 수준. 추가 상승을 위해선 실적 개선이 필수”
– 유명간 미래에셋증권 연구원

출처 : 뉴시스
예탁금도 5조6000억 원 늘어… 투자 열기 ‘활활’
6월 12일 기준 투자자 예탁금은 62조9445억 원, 이달 들어 무려 5조6473억 원 증가했습니다. 이는 대기성 투자자금이 증시로 진입할 준비를 마쳤다는 의미로, 시장 상승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됩니다.

출처 : 청년개미의 경제이야기
미국 주식은 매도세… 그러나 ETF는 인기
한편 국내 투자자들은 6월에도 미국 주식을 순매도하는 경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 1~12일간 순매도 규모: 1억1709만 달러(약 1602억 원)
- 그러나 눈에 띄는 예외도 있습니다.
- 테슬라 2배 추종 ETF (DIREXION DAILY TSLA BULL 2X SHARES)는
- 4억3079만 달러(약 5894억 원) 순매수로 1위!

결론 : 기대와 불안이 교차하는 증시… 실적 확인이 관건
지금의 증시 분위기는 ‘정책 기대감’이라는 심리적 요인에 힘입은 흐름입니다. 그러나 실질적인 기업 실적 개선과 글로벌 변수의 안정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상승세의 지속 가능성은 낮아질 수 있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행정부, 가전제품에 ‘철강 관세 폭탄’…삼성·LG 초비상 (5) | 2025.06.15 |
---|---|
현대위아, 동남아 최대 방산 전시회서 첨단 기동형 무기체계 공개 (1) | 2025.06.15 |
두산에너빌리티, ‘BBB+’에도 불구하고 회사채 발행 흥행! (0) | 2025.06.11 |
미국-멕시코 철강 관세 철폐 협정 임박…트럼프, 철강 정책 선회하나? (5) | 2025.06.11 |
이재명 대통령 효과? 코스피, 3년 5개월 만에 2900 돌파! (4) | 2025.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