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의 車부품 관세 확대, 한국 자동차 업계에 미칠 파장은?

2025. 6. 27. 12:22경제

반응형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또다시 보호무역주의 고삐를 죄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자동차 부품이 그 타깃입니다. 최근 미국 상무부는 25% 관세를 적용받는 자동차 부품의 범주를 더욱 넓힐 수 있는 제도를 공식화했습니다. 이는 한국을 비롯해 미국에 자동차 부품을 수출하거나, 미국 내 조립 공장에서 수입 부품을 사용하는 글로벌 기업들에게 큰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출처 : 머니투데이

무엇이 달라졌나?

현지 시간으로 6월 26일, 미국 상무부 산하 국제무역청(ITA)은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한 자동차 부품 관세 확대 절차를 공식 발표했습니다. 이에 따라 미국의 자동차 부품업체나 관련 단체는 매년 1월, 4월, 7월, 10월, 상무부에 특정 부품에 대한 관세 부과 요청을 할 수 있게 됩니다.

즉, 미국 내 기업들이 요청만 하면 상무부는 60일 내에 해당 부품에 관세를 부과할지 여부를 결정하게 되며, 이는 연중 반복적으로 이뤄질 수 있는 상시 체제로 바뀐 것입니다.

출처 : 한국GM

한국 자동차 부품업계, 어떤 영향 받을까?

현재도 한국을 비롯한 해외 기업들은 엔진, 변속기, 전자부품 등 핵심 부품에 25%의 추가 관세를 부담하고 있습니다. 이번 제도 변경으로 그 대상이 더 넓어지면, 한국 부품사들은 가격 경쟁력 약화는 물론 미국 내 판매처 축소라는 이중고를 겪게 될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미국 내 공장을 운영하는 완성차 기업들조차 수입 부품 사용 비용이 증가해 생산비 전체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이는 결국 소비자 가격 인상으로 이어져 글로벌 시장 경쟁력 저하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출처 : 포스코

철강 파생품도 타깃...가전업계도 긴장

이번 조치는 자동차 부품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최근에는 철강 파생제품에까지 고율의 관세가 적용되었습니다. 미국 상무부는 냉장고, 세탁기, 건조기 등 가전제품에 들어가는 철강 부품에 50%의 철강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습니다. 이는 미국 내 기업들의 요청에 따른 조치로,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한국 가전 기업에도 직접적인 타격을 줄 수 있습니다.

출처 : AP 뉴스

정리하며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 정책은 단순한 일회성 이벤트가 아닙니다. 제도화된 방식으로 연중 지속될 수 있는 상시 제재 체제로 변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파급력이 큽니다. 한국의 자동차 및 가전 부품업계는 미국 수출 구조의 다변화, 현지 생산 확대, 공급망 리스크 관리 등 다각적인 대응 전략이 필요해 보입니다.

반응형